언어

[의해] [의하여]

오해 2013. 2. 11. 13:24

이 말을 쓰는 것이 너무나 당연하고, 전혀 이상하지 않으며, 일본말일 거라 생각해본 적이 없는 말이 일본말에서 나온 것이라 합니다.

 

 よって( · · ) 을 따라쓰다 발생한 말이라는 것인데,

 

저 혼자서 더 생각해보자면, 수동태 문장을 번역할 때 쓸 단어가 마땅찮다보니 더 사용이 늘어나게 된 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이 '~의해', '~의하여' 특징은 없어도 이상하지 않다는 것입니다.

 

예)

]

일제가 강제철거한 청주 읍성

글자수가 2개 줄었고, 가독성도 뒤엣것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어가기만 하면 되니 훨씬 자연스럽습니다.

 

논문으로 넘어가보면,

 

이렇게 기존 연구결과들보다 계값들이 높게 나타나고 위양성률이 높아진다는 것은 저체온요법에 의해 신경학적 예후가 향상되었음을 반증하는것이기도 한다.

 

 

교정하면

 

이렇게 기존 연구결과들보다 계값들이 높게 나타나고 위양성률이 높아진 것은 저체온요법이 신경학적 예후를 향상시킴을 반증하는 것이다.

 

 

뒤의 이기도 한다... 라는 말도 바꾸는게 좋겠네요.

 

 

신경 특이에놀라제 농도는 다양한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 심정지의 원인과 심정지의 장소도...

 

 

교정하면

 

 

신경 특이에놀라제 농도는 다양한 요소에 영향을 받는데, 심정지의 원인과 심정지의 장소도...

 

 

우리는 글을 읽으면서 의식하지 못하지만 있으나 마나한 단어는 찌꺼기처럼 남아서 불편감을 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