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의사, 연구자 이건 간에 처음 외국 SCI에 논문을 넣게 되면 긴장을 할 수 밖에 없죠.
국내 논문 쓰기도 힘든데 외국 논문을 쓴다니...
한글도 힘든 판에 영어라니... 기고는 또 어떤 방식으로 해야할까... Impacting Factor 가 이런데, 내거를 봐주기나 할까...
내 경우는 기고를 어떻게 할지 모르는 것이 가장 문제였습니다.
'SCI는 title page를 어떻게 쓰는 거지? conflict of interest 같은 건 어디에 써야 하는 거지?'
인터넷에는 별 정보가 없었습니다. 결국 논문 홈페이지를 들락거리며 준비를 했습니다.
그렇게 맨땅에 헤딩하는 마음으로 시도를 해보고 나서, accept 되었을 때의 기쁨은 말할 필요도 없었습니다.
사막에서 꽃을 피웠다고 해야하나...
우리나라 과학계, 특히 의학 논문의 경우, 인터넷에 기고 방법을 공유한 곳은 없습니다.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 거라 생각하며, SCI 기고기, 방법을 써봅니다.
오늘 다뤄볼 곳은 American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입니다.
http://www.journals.elsevierhealth.com/periodicals/yajem/home
다른 의학 계열의 분드로 참고할만한 이유가 있는데, 이 논문의 출판을
꽤나 유명한 Elsevier가 담당합니다.
그리고, 홈페이지에서 Elsevier Editorial System (EES)라고 하면서 계속 겁을 주지만,
별거 아니고 그냥 결국 전자 출판하니까 컴퓨터로 파일 올리라는 겁니다.
**대부분의 공학, 의학 특히나 의학 계열의 논문 투고 방법은 Elsevier 출판사면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응급의학에서는 상당히 잘나가는 SCI 입니다.
메뉴의 For Authors 로 서브메뉴인 Author information 을 들어가보면...
http://www.journals.elsevierhealth.com/periodicals/yajem/authorinfo
이 나옵니다.
이걸 잘 봐야 합니다. 논문작성에 관한 세부지침 입니다.
형식은 어떻게 해야할지... 글자수 제한은 어떤지... 레퍼런스를 어떻게 달아야할지...
국내 논문을 써보셨다면, 읽다보면 적응할 수 있습니다.
그럼, 이제 작성에 들어가봅시다.
첫화면의 For Authors에서 Submit a manuscript로 갑니다.
그림 2. 여기가 출판 첫 페이지입니다.
여기서부터 시작인 겁니다.
처음 시작했으니 저자의 이름을 등록해야겠죠.
참... 대부분의 의학 논문은 교신저자(Corresponding Author)가 투고합니다.
여러분들은 교신저자가 맞나요? ^^
'Register'로 들어가서 등록을 합니다.
(이건 예전에 등록을 해놔서... 여기서는 생략하겠습니다. 이정도는 하실 수 있겠죠? ^-^)
그리고, authors information 이라는 오른쪽 window의 글들은 들어가서 한번씩 읽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다시 첫페이지에서 login 을 합니다.
그림 3. login 페이지
헷갈리겠지만, 우리같은 초보 연구자들에게 Reviewer, Editor, Pubilisher 가 될 자격 따윈 없습니다. Author login 합니다.
참고로... 저 같은 경우는 이렇게 제 정보를 넣었습니다.
그림4. 참고- 정보
로그인 한 화면은 이렇습니다.
그림 5. 기고 main 화면
New submission 은 새로 기고하는 중인 논문들 목록이고
Revision은 심사 이후 재심사 과정인 논문들이겠죠?
completed는 뿌듯한 통과 SCI 논문들입니다. ㅎ
당연히 submit New Manuscript 를 누릅니다.
참고로... 다음 투고과정에서 인터넷창을 지웠다거나, 로그아웃이 되게되면, 다시 접속하면, Incomplete submission 으로 저장이 되어 있으니 걱정 안해도 됩니다.
그림 6. 기고 종류 선택하기
먼저 나오는 것은 무엇을 기고할 지 결정하는 겁니다. authors information 에서 어느정도 파악을 하셨겠지요. 저는 case report를 하겠습니다.
그림 7. 논문 이름 넣기
논문 제목을 적어주세요. 글자수 제한 보이죠?
다음은 저자를 넣습니다.
그림8. 저자 추가하기
저자를 추가해 갑니다. 교신저자 계정으로 들어왔을 것이니 아래 이름 앞에는 교신저자가 붙어있고, 1명만 있으니 first author로 되어 있습니다.
이제 윗 창에서 추가된 저자를 집어 넣고, Add Author를 눌러줍니다.
그림 8-2, 저자 추가하기
이렇게 더하다 보니 3명이 되었네요. 논문에 기재될 순서를 정하기 위해서 중간부분의 '화살표'를 눌러주면, First author를 정해줄 수 있습니다.
작년에 제가 해볼때 안되었던 건데요. 위에 추가된 저자가 교신저자면 거기에 체크를 하라는 빨간 칸이 있습니다. 그 칸에 체크를 하면, 그 다음 단계에서 체크한 저자 계정으로 로그인해서 논문을 기고하라며 중단이 됐습니다 ㅡ,.ㅡ 복잡해지기 싫으면, 교신저자 계정이 좋습니다. -_-;;;
그림 9. abstract 넣기
논문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이렇게 abstract를 직접 넣는 경우도 있습니다.
case 경우에는 250자 제한이군요.
그림 10. Classification
'Select Classification'을 누르면 새창이 뜹니다.
여기서 내가 쓴 논문이 속하는 분야를 선택해서 'select'로 오른쪽으로 옮겨주면 됩니다.
복수도 상관이 없습니다. 아마 이걸루 해서 논문심사하는 사람이 정해지는 거겠죠?